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센셜리즘, 중요한 것에 집중하는 4단계

by cocoly_chae 2025. 6. 26.

당신은 늘 바쁘지만 정작 중요한 일은 놓치고 있진 않나요? 거절은 어렵고, 할 일은 끝이 없고, 마음은 늘 분주하다면 그렉 맥커운의 『에센셜리즘(Essentialism)』이 필요한 때입니다. 이 책은 “더 많이”가 아닌 “더 적게, 더 잘하기”를 말합니다. 이 글에서는 에센셜리즘의 핵심 4단계를 정리하고, 제가 어떻게 적용했는지도 함께 나눕니다.
 

에센셜리즘 책 표지 – 복잡한 선들이 점차 간결해지는 그림
중요하지 않은 것을 줄이고 본질에 집중하는 삶을 위한 조언이 담긴 책입니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도서)


1단계: 탐색 – 진짜 중요한 것을 구별하라

에센셜리스트는 모든 일이 중요한 일은 아니라고 단호하게 인식합니다. 다양한 선택지 속에서 “진짜 중요한 것”을 골라내는 과정이 탐색입니다. 핵심 메시지는 명확합니다. “모든 것이 중요하지 않다, 진짜 중요한 것이 있다”입니다. 저 역시 이 단계에서 큰 변화를 경험했습니다. 예전에는 모든 할 일이 급하게 느껴졌지만 ‘하나만 한다면 어떤 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칠까?’라고 묻기 시작하자 확신이 생겼습니다. 그 질문 하나로 스케줄이 간소화되고, 우선순위가 정리되었죠. 실천 팁으로는 세 가지를 권장합니다. – 매일 아침, “오늘 반드시 해야 할 한 가지는?” 자문 – 일주일마다 우선순위 톱3를 적고 일정표와 비교 – 하루 일정 중 최소 30분을 ‘사고할 시간’으로 확보하기 이 과정을 통해 ‘진짜 중요한 일’에 대한 감이 생기고, 마음이 여유로워집니다.


2단계: 제거 – 사소한 것을 덜어내라

명확성은 과감한 실행이 있어야 구현됩니다. 두 번째 단계인 ‘제거’는 불필요한 약속, 요청, 활동을 과감히 덜어내는 것입니다. 맥커운은 “명확한 ‘예’가 아니라면, 그것은 ‘아니오’이다”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저도 방향과 맞지 않는 프로젝트를 정중히 거절하자 여유 시간이 생기고, 컨디션도 좋아졌습니다. 실천 연습으로는 다음을 추천합니다. – “지금은 어렵습니다”처럼 단호하고 정중한 말 익히기 – 한 주 동안 에너지만 소모하는 활동을 일정에 표시 – 사과 없이 당당히 “아니오”라고 말하는 연습하기 이 단계를 거치면 즉각적인 변화가 나타납니다.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중요한 영역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습니다.


3단계: 실행 – 쉽게 집중할 수 있는 구조 만들기

중요한 일을 선택했다면, 이제는 이를 실행하기 쉽도록 환경을 설계해야 합니다. 방해 요소를 줄이고, 반복 가능한 루틴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저는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서 ‘집중 블록’을 설정한 이후로 시작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실천을 위한 지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필수 업무는 위임하거나 자동화하세요 – 체크리스트, 시각적 힌트(포스트잇, 색상 등)로 흐름 유지 – 결정 피로를 줄이기 위한 고정 루틴 만들기 이 루틴이 마련되면 중요한 일을 실행에 옮기는 진입 장벽이 낮아집니다. 정신은 자동으로 흐름에 접속하고, 작은 성취가 반복되며 자신감도 함께 상승합니다.


4단계: 향상 – 삶을 재설계하는 지속력

에센셜리즘은 일시적 대응이 아닙니다. 지속 가능한 삶의 철학으로 자리 잡아야 합니다. 이 단계는 주기적 성찰과 재정렬, 보상 과정을 통해 철학이 삶에 깊이 녹아들도록 돕습니다. 저는 이 책을 실천한 이후, 처음엔 ‘포커싱 질문’을 중심으로 하루를 설계했고, 그다음에는 거절과 구조화를 이어갔습니다. 그 결과 오히려 성과는 줄지 않았습니다. 에너지가 분산되지 않으니 본질적인 일에 더 집중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실천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주, “이번 주 진짜 집중한 것은 무엇인가?” 자문 – 우선순위와 어긋난 항목은 과감히 재정리 – 작은 성과라도 반드시 기념하고 자신을 칭찬 이 과정을 통해 삶은 전략처럼 설계되고, 의도적인 나로 존재하게 됩니다.


5단계: 디지털 경계 설정 – 진짜 중요한 것 유지하기

디지털 기기의 알림은 우리의 주의력을 끊임없이 분산시키는 주범입니다. 에센셜리즘 실행에 있어 디지털 경계 설정은 아주 중요한 단계입니다. 저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디지털 환경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폰에서 앱 알림 중 절반 이상 꺼두기 – 이메일과 메신저는 정해진 시간에만 확인 – 집중 시간이 시작되면 ‘디지털 방해 모드’로 전환 이 작은 조치 하나로 하루 집중 시간이 크게 늘었고, 생산성도 눈에 띄게 개선되었습니다. 실제로 확인해보니 하루 2시간 이상 집중 시간이 늘었고, 업무 마감 속도는 20% 이상 단축됐습니다.


6단계: 내적 기준 강화 – 의도와 가치 중심의 삶

에센셜리즘은 외적 선택을 넘어서 내면의 기준을 강화하는 과정입니다. 의도적 삶을 위해서는 중심 가치를 분명히 하고, 이를 기준으로 선택과 행동을 결정해야 합니다. 저는 매달 다음 질문을 통해 자신의 기준을 점검합니다. – “내 가치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내 마음이 흔들렸던 순간은 언제였는가?” – “다음 달에는 어떤 선택을 다르게 하고 싶은가?” 이 과정을 통해 저는 ‘모두에게 예스’가 아닌, 정말 중요한 것에만 ‘예스’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제 삶은 한결 가벼워졌고, 의도적으로 선택한 순간들이 의미 있고 깊어졌습니다.


📊 에센셜리즘 6단계 요약표

단계 목적 일상 적용법
탐색 진짜 중요한 것 식별 우선순위 질문·명상·저널 쓰기
제거 불필요한 것 덜기 거절 연습·일정 점검·단순화
실행 집중 가능한 환경 구축 루틴화·자동화·방해 차단
향상 지속 가능한 철학 정착 주간 점검·재정렬·보상
디지털 경계 주의 분산 억제 알림 최소화·라이트 모드 전환
내적 기준 가치 중심 삶 월간 가치 질문·기준 점검

 

마무리 질문

에센셜리즘은 미니멀리즘이 아닙니다. 의도를 가지고 사는 삶입니다. 저도 이제는 “모두에게 예스”가 아니라, “진짜 중요한 것에만 예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삶이 한결 가벼워졌습니다.
 
질문: 이번 주, 당신이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한 가지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디지털 경계를 위해 어떤 작은 조치를 시도해 볼 생각인가요? 여러분의 계획을 댓글로 나눠주세요!